김환기 화백은 1963년 10월 뉴욕으로 떠나 돌아가시기 전까지
객지에서 아마 힘든 생활을 겪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바,
그래서 그런지 과슈집을 보니 좀 혼란스러운 그림이 있다.
낯설은 말 과슈란 무엇일까?
구아슈(Gouache) - 아라비아 고무를 섞어 만든 불투명한 수채 물감
1964년
"1956~58년 파리에 머물던 환기는 과슈라는 재료에 매혹되어 수채화처럼 물에 풀되
오일처럼 텍스츄어를 낼 수 있어서 재미난다고 스케치북 같은 양지에도 그리고
화선지같은 우리 종이에도 그렸다."
- 추상화가 김환기의 수필집 '그림에 부치는 시(詩)' 에서
과슈집 1,2권을 보니
1963년 64년 하양과 검정, 그리고 그 사잇빛깔의 무채색, 복잡한 구성으로 무겁고 혼란스럽다.
삶의 고단이 손가락을 통해 그림에 전달되었나
아니면 예술에 대한 나의 무지에서 오는 걸까?
'비가 온다'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작품에 이름이 없는 무제(無題)이다.
1964년
무겁게 보이고
영원의 세계로 날아가는 세의 날개도 피곤하게 보인다.
1964년
둥근달도 무거워
지구로 떨너질 듯한 느낌
1964년
울긋불긋하나
보는 이의 눈을 혼란스럽게 한다
1963년
붉은 바닷물에
나룻배가 힘겹게 떠 있는 듯
1964년
1964년
오는 전화도 없고
전화를 걸데도 없으니
세상의 빛깔이 울퉁불퉁하다
'비가 온다' 1966년 4월 28일
피곤함을 잊고
고국의 무궁화 꽃으로 기운을 되찾으시길 빌며
http://blog.daum.net/janmoe/73
김환기가 사랑했던 것들-김환기-3
호적 이외의 이름 수화 樹話 무슨 이유가 있어서가 아니라 여하튼 호적의 이름이 싫어서 내 이름을 하나 갖고 싶었다. 그래서 내가 좋아하는 글자를 모아 놓고 거기서 나무 樹(수)를 얻었으나 그 밑에 붙일 글자를..
blog.daum.net
http://blog.daum.net/janmoe/81
별과 영원을 찾아간 추상화가 - 김환기 - 4
자화상 1957년 ⓒ환기재단 여름 달밤 기좌도(안좌도) 1961년 ⓒ환기재단 1963년 미국으로 건너가 보낸 편지와 일기에서 추상화가 김환기의 마음을 읽으면서 남긴 그림을 함께 봅시다. ( 김환기 수필집 '어디서 무..
blog.daum.net
'김환기 · Kim Hwank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편한 진실 2016-2 (0) | 2016.04.10 |
---|---|
김환기 화백이 그린 '날마다 즐거워 하는 여인' 2016-1 (0) | 2016.01.21 |
김환기 과슈집에 차분함이 담긴 그림 2015-9 (0) | 2015.12.29 |
김환기 데생집에서 뽑은 그림 2015-8 (0) | 2015.12.27 |
추상화가 김환기 화백의 엽서 담을 우체통 only one in the world 2015-7 (0) | 2015.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