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과 山行(幸)記

전주 교동다원에서

곰돌이 baby bear 2011. 7. 16. 22:09

지난 주 금요일 저녁 전주에서 저녁을 먹고, 차를 마시려고 교동다원으로 옮겼다

골목길을 들어와 대문에 있는 가로등이 어둠을 밝힌다

 

'교동다원'

 

 

마당에 들어오니 이방저방에서 차를 즐기고 있다 

                                                                                                           우리가 들어간 방

 

막대기 커피나 종이봉지 차를 마구잡이로 마시는 데,

다원이라!

약간 편하게 느껴지지만,

다례(茶禮)하면, 굳어진다.

차를 마시는 예법을 모르니..

 

우리 여섯명이 일단 들어가 팽나무로 만든 그루터기 주위로 둘러 앉았다.

                                                                                                                                                             우리자리

 

주인장께서 들어오셨다.

우리를 데리고 온 전주 친구는 몇번 와봤지만 잠자코 있고,

주인장이 잠시 기다리다 주문을 받았다

주인장은 말총머리를 하였고, '안드로메다'에서 왔다고 합니다

안드로메다??? 처음 듣는데???

 

녹차가 있고, 이를 우려서 만든 것이 홍차라 한다

우리는 홍차를 시키면서 다양한 차를 시키는 것이 가능한 지를 묻자,

주인장은 "여러가지 차를 시키면 권력투쟁이 일어난다"는 말로 가볍게 넘어갔다.

 

조금 후 차와 물을 가져와서 우리 스스로 차를 만들어 나누어 마실 수 있도록 가르쳐 주었다.

우선 팽주(烹主)를 정하는 것이다.

팽()자는 ' 우릴 팽 이라고한다.

(*사전을 찾아 보니 ㉠(음식물을)삶다 ㉡삶아지다 등..)

 

차를 우리는 사람이라는 뜻인 것 같다

차를 우려내고, 함께 한 사람들의 찻잔에 정성스럽게 차를 따르는 사람이다 

 

팽주의 자격에 대해서는 미처 물어보지 못했는데,

우리의 경우 여성을 지정하였는데,

특별한 요건이 필요한 것 보다도 주인장의 눈에 잘 띄어야 될 수 있는 듯

 

여성 팽주(table leader? server?)는 우선 차를 내리는 작업에 들어갔다

                                                                                                                                                            차 내리기 

 

 

                                                                                                                                                                          빈 잔

 

차 내리는 동안 우리는 자기 잔을 만지작 거리며 받침(찻잔 깔개)을 보았다 

 

                                                                                                                                               찻잔 받침 '바람꽃' 

 

                                                                                                                                               찻잔 받침 '길없는 길'

 

내 찻잔 깔개에는 '바람꽃'이라 적혀 있고 다른 사람에겐 '길없는 길'이라 적혀있다

놀랍게도 팽주의 찻잔 깔개에는 아무것도 써있지 않아,

우린 내가 '팽주 자리를 훔쳐 앉았다'라고 우스개 했다

 

                                                                                                                                                            우러난 발효차 

 

아주 자연스러운 색깔이다

나무빛깔이다

 

팽주는 주전자를 들고 빈잔을 채워준다

내가 마시고 싶다고 내가 따르는 것이 아니다

팽주 잔에 누가 차를 따라줄 것인가?

그건 팽주 자기 몫이다. 다른 이가 따라 주면 좋겠지만..

 

                                                                                                                                                  우리밀로 만든 과자 

 

찻잔을 꼭 두 손으로 든다

가볍게 들고 천천히 마시며 맛을 본다

미지근한 것 보다 약간 따뜻하다

 

담백하다

나는 예민하지 못하여 발효시켰는 지를 혀로 판단하기 아려웠다

우리 저녁밥에 돼지갈비를 먹어서 그러니 담백하고 순수함이 더 한다

 

이따금 우리밀로 만든 과자를 한개씩 먹었다.

장마로 후덥덥한 날씨이지만 찻잔의 담백함과 찻집 분위기로 한껏 취했다

 

두잔 석잔........

물이 떨어지면 주방에서 타가지고 오는데..

아무나 가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경우 가장 나이어린 한명을 지정하였다

다동(茶童)  물 신부름꾼?

다동이 한번 보온 물통으로 물을 날랐다

 

 

몇번 더 우려 마실 수 있는데

군대 친구가 막걸리 집에서 빨라 오라고 재촉하는 바람에, 아쉬움 남기고 떠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