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과 山行(幸)記

처음 가 보는 광한루와 성춘향

곰돌이 baby bear 2010. 10. 27. 23:40

처음으로 남원에 가게 되었다

귀가 닳도록 들었던 광한루를 보게 되어 반갑다

고등학교 때 국어와 고문시간에 배웠지만 기억에 조금만...

 

廣寒樓

하늘의 옥황상제(玉皇上濟)께서 살던 신선(神仙) 궁전인 광한청허부(廣寒淸虛府)가 있었는데,

   이는 인간이 신선이 되고픈 이상향(理想鄕)으로 이를 본따 광한루(廣寒樓)라 하였다고 한다.

 

당시 하늘에 사는 옥황상제의 딸, 베짜는 직녀(織女)와 미천한 소몰이 견우(牽牛)가 신분을

   초월한 사랑으로 결혼하였는데, 이후 이들의 게으름으로 옥황상제의 노여움을 사

   견우와 직녀는 은하수 동쪽과 서쪽으로 나뉘어 1년에 딱 한번 칠월칠석에 다리없는 은하수에서

   만날 수 있게 되었다.

 

둘의 만남이 너무 애닯아 이날에는 세상의 까치와 까마귀가 모두 은하수로 올라가 다리를 만들어

   만나게 했는데 까마귀와 까치가 만든 다리를 밟고 만나는 견우와 직녀의 눈물이 를 만들었다.

이러한 전설을 지상에 펼쳐놓아, 은하수가 호수로 되고 까마귀와 까치가 오작교(烏鵲橋)로 되었다.

(까마귀 오 , 까치 작 ) 

 

 

이제까지는 광한루의 아름다움과 하늘에서 있었던 견우(牽牛)직녀(織女)의 애닯은 사랑이야기였으나

   이제 우리가 사는 땅에서도 아름다운 사랑이야기가 있었다는데?

 

단오절 음력 5월 5일이다

월일이 겹치는 날 양기가 가득찬 날로 길일(吉日)로 치는데, 그 가운데 5월 5일이 으뜸이라.

 

남원 이몽룡(李夢龍) 도령도 이러한 단오날에 서재에서 책을 읽을 기분이 아닐 것이고

   모든 청춘남녀들은 광한루로 모인다

                                                                                                                                                         광한루 

                                                                                                             (기촛돌 위에 올린 건축양식이 특이롭다) 

 

광한루에 올라 이러저리 둘러보던 이도령의 눈이 휘둥거린다.

날으는 선녀다.

 

큰 나무 밑에 그네가 오락가락

푸른 저고리 빨간 치마 춘향(春香)

까만 머리댕기 멀리 휘날리고 

고동색 옷고름 고이 맨 후 

빨간 치맛자락 펄럭이며 윙크를 보낸다

                                                                                                                                                          오작교 

 

이도령 급히 광한루에서 내려와 오작교를 지나 그네나무로 달려갔다

세상 모든 일 선착순

 

춘향이를 보고 첫눈에 반해 프로포즈를 한다

春香

기녀인 월매(月梅)의 딸이다

얼짱, 몸짱, 옷짱, 시 잘 짓는 글짱, 이름대로 온 세상의 봄 향기짱???  

                                                                                                         당시 그네 달았을 나무. 이젠 고령으로 지팡이를

 

이몽룡(李夢龍)은 춘향에 어떻게 보였을까?

마마보이?

터프가이?

아마도 부와 권력이 충만한 용()  

 

서로 반했으면 일단 평생 사랑할 약속을 해야지

월매를 찾아가 허락을 받고, 몽룡 부모님이야 그때나 지금이나 뒷전이다 

부용당(芙蓉堂)에서 백년가약을 맺는다  

                           월매집                                                                                부용당

  

 

사랑 안에도 가슴 아픔이

    

이도령이 서울로 올라간다

사랑에 빠지자 곧 헤어짐이지만 풍운의 꿈을 위해

관악구 신림동 고시촌에 둥지를 틀다

과거시험을 준비하기

                                                                            이별

 

인생은 선착순이나 그래도... 

봄의 향기 춘향이에 매력을 느낀 이가 더 있으니

그가 바로 신임 변사또이다

 

남원지방의 행정에 사법까지 맡은 변사또의 수청 거절에

   뒤따르는 건 매질과 감옥생활이다

끝끝내 거부하자 변사또는 자기의 생일날 춘향을 처형하기로...

 

무남독녀 춘향의 운명에 기가 막힌 엄마, 월매

달빛 아래 조용히 앉아있다는 월매(月梅)가 무슨 수로 딸을 구하나?

사위될 이도령, 춘향의 피앙세 이도령이 장원급제하여야 변사또를 날려보낼 수 있을건데..

장원급제를 위해 물을 떠놓고 마음모아 치성으로 빌고 또 빈다...

 

                            표지판                                                                     장원급제기원단

 

어느날 어둑한 저녁에 뜬금없이 이도령이 나타난다

 

나그네 : 이보소! 먹을 것 좀 주소

월   매 : 뉘쉬오! 갓은 찟기고 옷이 남루한데.. 밥, 술 달라니?

            아니니니니..  이~~~~이도령 아니신가?

이도령 : ......

월   매 : 이년의 팔자가 서럽디 서럽다.

            딸년 목숨이라도 구하려고 치성으로 빌었건만.....

            사위될 이도령이 장원급제는 커녕 거지되어 나타나니...

            내딸 춘향이를 어찌할꼬!!!!!!!!

 

월매와 이도령 감옥 면회가다

                                                                                면회소

 

춘향 : 어매어매 우리 엄마 어서 오소.

         어제 밤 꿈에서 지은 시 들어보소

                                                                                                                                        옥중시(獄中詩)

   옥중시

지난 해 어느 때에 임을 이별하였던가

엊그제 겨울이더니 이제 또 가을이 깊었네

거친 바람 깊은 밤에 찬비는 내리는데

어찌하여 남원 옥중 죄수가 되었는고..

 

춘향 : 근디 도령은 뉘시오?

월매 : 니 눈이 삐었지?

         그 잘난 이도령이다. 거렁뱅이 되어 왔다

         이제 우리 모녀 뭘 믿고 사냐~~

춘향 : (기가막혀 혼절한 후) 주루루루~~~~~~~~~~

         그래도 자기야! 정말 사랑해

도령 : 훌쩍거리며 주루루루루루루~~~~~~~~~

         몰골은 이리 흉해도 우리 언약을 말똘말똥 기억하고 있네    

    

변사또 생일날

풍악이 울리자 남원 주변 유지들이 모두 모여들었다

춘향이 형틀에서 괴로움을 당한다

                                                                                                                                                       형틀

 

'사또 덕분에 나팔 분다'고 이렇게 큰 잔치에 걸인에게도 큰 잔치라네

거지나 다름없는 이도령이 음식을 구걸하였다

간신히 밥과 떡과 고기를 얻어 먹은 후 시 한 수를 지어 낭송하였다

                                                                                                                                          어사시(御史詩)

    어사시

금잔에 향기로운 술은 만백성의 피요

옥소반에 맛있는 안주는 만백성의 기름이다

촛불의 눈물이 떨어질 때 백성들 눈물 흐르로니

노랫소리 높은 곳에 원망 소리 또한 높구나

  

거랭뱅이가 낭송하던 시를 들은둥 마는둥 하던 변사또

'눈물'에서 가우뚱하다가 '원망 소리' 듣고 심상치않는 분위기

결국

"암행어사 출두요!"에 혼비백산하여 시궁창으로 들어가다   

--------------------------------------------------------

남은 사진을 올립니다

 

                                 오작교                                                       은하수를 건네주는 배, 상한사 

 

                     어화둥둥 내사랑이야 장승                                              이리오너라 업고살자 장승

  

                                     월매집                                                                   월매방 손님 접견중

 

                          축사(암탉들)                                                                       뒷간

 

                                                                        미꾸라지 상(남원 추어탕이 유명)                                          

               '새집추어탕'에서 점심,  반찬은 샐프서비스, 추어탕 국물을 아줌마가 한 솥 들고 다니며 희망자에게 떠준다

 

'여행과 山行(幸)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운전  (0) 2011.03.21
지리산 둘레길을 거꾸로 가며  (0) 2010.10.31
다름/차이와 돌탑  (0) 2010.07.26
소백산 초원을 걷는 즐거움  (0) 2010.07.04
북악하늘길을 지나 북한산에  (0) 2010.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