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만든 것

한 중 일 생활전 가구를 만난 즐거움 - 서울 디자인 한마당

곰돌이 baby bear 2010. 10. 2. 17:03

9월 25일 가을 햇볕이 쨍쨍 내리쬐던 날

서울 디자인 한마당을 찾아 잠실종합운동장으로 가다

 

햇볕으로 나오는 'design for all' 

  

한중일 생활전을 먼저 들렸으나

   서울 디자인 자산전에 나온 우리나라 고전가구를 먼저 싣는다

 

서울 디자인 자산전에 들어서면 재밌는 사진을 모니터에서 본다

 

                                  고얀 고양이 이녀석!  올여름 몸보신하려 보아둔 암탁을 훔쳐가다니!!

  

櫃 - 윗닫이 궤

궤란 물건을 보관하는 것이다.

여인들의 마음과 노래를 담은 가구

역할로 본다면 BIG CD가 되겠네요  

 

LCD 옷장에 산속 별장 

 

LCD 옷장에 거문고 타는 여인들이

 

 

한중일 삼국 생활전에서 만난 가구들

 

한국

 

긴 의자

설명서

날아갈 듯 유연하고 가벼운 인공소재인 카본화이바와 태초부터 존재했던 자연소재인 육중한 검정 화강석의 상반된 물성은

   까마득한 과거와 다가오는 미래의 연결점으로 우리를 안내합니다

 

사이드 테이블  

설명서 

숭고하고 단순한 형태의 돌이 가진 자연미와 나무의 본질적인 물성을 드러내는 작품입니다.

인류의 가장 오래된 행동 양식을 반영하여 단순히 쌓는 방식으로 만들어졌으며,

   싸이드 테이블의 실용성과 자연 태초의 순수함을 겸비하고 있습니다.

 

 

중국

 

왕의 의자 

 

 곡원풍연 曲院風荷

명나라 양식의 가구를 해체하여 투명 아크릴이 교차하는 구조물에 결합, 재구성한 제품입니다.

분해된 가구를 재현함으로써 긴장감과 낯선 느낌을 유발합니다.  

 

 '슌(順)'시리즈 소파 디자인 

설명서

'바람에는 비가 따른다'는 오래된 중국 속담은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공존을

    기원하는 조상들의 소망을 반영한 것입니다.

'슌(順)' 시리즈는 자연의 고요함과 인간의 엄숙함을 결합한 컨셉을 통해

    이러한 조상들의 소망을 현대 사무실 환경에 반영하고자 합니다. 

 

 자연 시리즈 소파 디자인

설명서

'자연'시리즈의 사무실용 소파 디자인은 자연과 자유를 표현합니다.

어린 시절 가지고 놀던 조약돌을 모티브로 삼아 로맨틱하고 해방적인 기억을 일깨웁니다.

 

안석 BACK REST 

설명서

벽에 세워놓고 앉을 때 몸을 기대는 가구를 이르는 말입니다.

이 가구는 성장하는 유기적 형태로 옛 안석을 재구성하였습니다   

 

소리 SOUND

설명서

조용함과 참됨을 표현한 소박한 의상 작품으로, 자연스럽게 퍼져 확장된 형태를 통해

    단순함 속에 자리한 고아한 정신적 공간을 나타내었습니다. 

심하게 흘려 쓴 중국 전통의 광초(狂草)서체는 춤추 듯하며, 형상인 듯하면서도 형상이 아닌 것을 표현합니다  

 

 천인합일 '파란꽃'&'화'  天人合一 '靑花'&'花'

설명서

사람들에게 친숙한 자연의 식물을 모티브로 하여, 번영과 번성을 표현하였습니다.

이 작품의 향기는 감상자가 만물의 조화로움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삶의 의미와 우주적인 사랑, 철학 등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이끕니다.  

 

일본

 

 꽃의 방

설명서

우리들의 일상생활은 시장 원리를 우선하는 글로벌리즘에 의해 해체되어 가고 있으며,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 모두는 이에 대한 위기감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에 리켄 야마모토는 동아시아의 문화를 재조명하고 그 가치를 되살릴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수키

 

 

 사인 SIGN

 설명서

재미있고 대담하며 간결한 형태를 지닌 다용도 제품으로,

   사용자 마음대로 형태를 변형할 수 있는 옷걸이입니다.

가지는 회전시키거나, 줄기로부터 떼어 따로 둘 수 있습니다.

고대 알파벹의 모습을 형상화 하는 듯 합니다.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숨겨져 있는 자석이 작동하여 가지를 원래 자리에 돌아오도록 합니다.

 

 토리 TORI

설명서

신도는 조상과 자연을 섬기는 일본 전통 종교입니다.

이 의자는 일본의 미학을 대표하는 신도 성지의 아치형 입구인 토리를 모티브로 디자인 되었습니다.

특별한 형태의 등받이를 지지하는 곧은 의자 다리는 토리의 존재감과 힘을 표현하며, 미묘한 인상을 전달합니다.   

 

나의 느낌

삼국 공통으로 자연과 인간이 더욱 더 자연스러워짐을 표현, 구현하려 하였고,

   중국과 일본의 경우 역사와 전통문화가 가구에 많이 반영되었다.  

 

우리나라도 전통과 역사를 오늘의 시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여 오늘과 미래에 맞게 디자인 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우리 집에 있는 부서진 연상(硯床)을 고쳐 할아버지의 체취를 오늘 느껴 보려한다